지나온 길

2024
환경학교 1,074명, 쓰레기제로학교 시범운영(정토사회문화회관)
기후학교 91명, 에코시네마 1,457명 참가
환경담마토크 5개 으뜸절 확대 660명, 정토회 환경워크숍 4지역 진행
흙퇴비화 308명, 가치환경실천(빈그릇캠페인, 삼베수세미 등)
지역환경실천(텃밭활동, 용기내서용기내, 송파환경실천단 등)
기후학교 91명, 에코시네마 1,457명 참가
환경담마토크 5개 으뜸절 확대 660명, 정토회 환경워크숍 4지역 진행
흙퇴비화 308명, 가치환경실천(빈그릇캠페인, 삼베수세미 등)
지역환경실천(텃밭활동, 용기내서용기내, 송파환경실천단 등)
2023
환경학교 1,313명, 기후학교 93명
에코시네마 906명, 환경담마토크 633명 (10개 지부), 환경활동가 대잔치 231명
흙퇴비화 325명 진행, 소비제로 삼별단, 지역실천캠페인(담배꽁초 줍기 등)
에코시네마 906명, 환경담마토크 633명 (10개 지부), 환경활동가 대잔치 231명
흙퇴비화 325명 진행, 소비제로 삼별단, 지역실천캠페인(담배꽁초 줍기 등)
2022
환경학교 1,614명
도시농업강좌, 기후학교, 환경즉문즉설 개최
월별 환경실천(삼별단 모집운영), 음식물쓰레기 흙퇴비화 937명
에코붓다 온라인 환경카페 및 밴드 운영, 환경활동가 워크숍(517명)
도시농업강좌, 기후학교, 환경즉문즉설 개최
월별 환경실천(삼별단 모집운영), 음식물쓰레기 흙퇴비화 937명
에코붓다 온라인 환경카페 및 밴드 운영, 환경활동가 워크숍(517명)
2021
온라인 환경학교 개편
13가지 환경실천 개편, 흙퇴비화 114모둠 1,107명
환경 실천 설문조사 실시
13가지 환경실천 개편, 흙퇴비화 114모둠 1,107명
환경 실천 설문조사 실시
2020
온라인 환경학교 개발(3,467명 수강)
온라인 나비장터 진행, 흙퇴비화 실험단 2,260명
지역 활동(이엠발효액, 천연비누, 수세미, 마스크 제작 등)
온라인 나비장터 진행, 흙퇴비화 실험단 2,260명
지역 활동(이엠발효액, 천연비누, 수세미, 마스크 제작 등)

2019
전국 150개 지역 청정삶터 만들기, 쓰레기 성상조사 151곳
흙퇴비화 실험단 운영, 15층 쓰레기제로빌딩 사업 준비
환경학교 146회 개최, 영화 ‘알바트로스’ 전국 상영 189회 2,643명
2019 서울적정기술한마당 쓰레기제로 부스 참여
흙퇴비화 실험단 운영, 15층 쓰레기제로빌딩 사업 준비
환경학교 146회 개최, 영화 ‘알바트로스’ 전국 상영 189회 2,643명
2019 서울적정기술한마당 쓰레기제로 부스 참여
2018
전국 120개 지역 청정삶터 운영 종합분석. 12가지 환경실천 보드 전국161곳 모두 비치
쓰레기제로빌딩 모델사업(음식쓰레기 처리기기 퇴비화 실험, 물절약 변기 도입)
전국활동가 환경워크숍 8회 진행
‘음식 남기지 않기’, ‘플라스틱 다이어트’ 실천
전국 환경학교 177회, 영화상영 87곳, 나비장터 177회, 도시농부 베란다텃밭 16곳 운영
쓰레기제로빌딩 모델사업(음식쓰레기 처리기기 퇴비화 실험, 물절약 변기 도입)
전국활동가 환경워크숍 8회 진행
‘음식 남기지 않기’, ‘플라스틱 다이어트’ 실천
전국 환경학교 177회, 영화상영 87곳, 나비장터 177회, 도시농부 베란다텃밭 16곳 운영
2017
전국 100개 지역 청정삶터 만들기 사업 추진
환경활동가 워크숍 지부별 11회 개최(530명 참가)
생태탐방 18곳, 나눔과 비움장터 전국 55곳 개최
해외(뉴저지, 밴쿠버, 시드니, 마닐라) 활동 확장
환경활동가 워크숍 지부별 11회 개최(530명 참가)
생태탐방 18곳, 나눔과 비움장터 전국 55곳 개최
해외(뉴저지, 밴쿠버, 시드니, 마닐라) 활동 확장
2016
전국 117곳 쓰레기 기록 및 와우시스템 입력 관리
환경수행 12가지 보드 제작 및 전국 138지역+해외 16지역 보급
생태기행 9곳, 환경실천 캠페인, 학교 빈그릇통장 지원
미니멀리즘 프로젝트 ‘물건이야기’ 진행
환경수행 12가지 보드 제작 및 전국 138지역+해외 16지역 보급
생태기행 9곳, 환경실천 캠페인, 학교 빈그릇통장 지원
미니멀리즘 프로젝트 ‘물건이야기’ 진행
2015
전국 쓰레기제로 시범사업장 10곳, 중소규모 22곳 운영. 쓰레기조사분석시스템 구축 89곳
아나바다장터 기획(나비장터 시작), 지렁이엄마 교실 시작
에코캠퍼스 빈그릇운동 캠페인 및 심포지엄 개최(매년)
아나바다장터 기획(나비장터 시작), 지렁이엄마 교실 시작
에코캠퍼스 빈그릇운동 캠페인 및 심포지엄 개최(매년)
2014
전국 법당 쓰레기 발생량 조사 및 분석 시작
전국 환경활동가 워크숍
월별 집중 실천 캠페인 시작 (2018년까지 지속)
전자책 발간(쓰레기제로 운동 보고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사례집, 생태뒷간 등)
전국 환경활동가 워크숍
월별 집중 실천 캠페인 시작 (2018년까지 지속)
전자책 발간(쓰레기제로 운동 보고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사례집, 생태뒷간 등)
2013
청정삶터를 위한 생활공청회, ‘내 마음의 푸른마당’
종교인 대화마당 <종교, 생명의 길을 다시 묻다>
국제슬로푸드 대회 참가 (걷기/명상/빈그릇 체험)
환경활동가 워크숍(제1기), 환경영화 상영(후쿠시마의 미래)
경상대 에코캠퍼스 빈그릇운동
종교인 대화마당 <종교, 생명의 길을 다시 묻다>
국제슬로푸드 대회 참가 (걷기/명상/빈그릇 체험)
환경활동가 워크숍(제1기), 환경영화 상영(후쿠시마의 미래)
경상대 에코캠퍼스 빈그릇운동
2012
2기 환경열린아카데미(그때 거기에 살아있던 그들 다 어디로 갔을까?)
청정삶터 만들기 사업 시작연등축제
청정삶터 만들기 사업 시작연등축제
2011
1기 환경열린 아카데미, 수도권 환경모임
2010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에코붓다와 함께 일회용품 없는 축제’
‘4대강 개발, 다른 대안은 없는가’ 학술심포지엄 개최
4대강생명살림불교연대 활동
‘4대강 개발, 다른 대안은 없는가’ 학술심포지엄 개최
4대강생명살림불교연대 활동

2008
청정법당을 위한 12가지 환경실천 야생동물 위령제 개최
2007
육군제55사단기동대대 [빈그릇운동 협력 협약서 체결]
난지물재생센터 군부대 지렁이 분양식
빈그릇 실천학교 사업설명회 개최
생태뒷간 발간
난지물재생센터 군부대 지렁이 분양식
빈그릇 실천학교 사업설명회 개최
생태뒷간 발간
2006
심포지엄 <환경운동의 새로운 가능성, 빈그릇 운동과 대안적 생활양식>
계성여고 지렁이 축제
음식물쓰레기 제로를 위한 열린 토론회
대학생정토회, 에코캠퍼스 심포지엄 개최
에코붓다-양천구청 빈그릇운동 협약
계성여고 지렁이 축제
음식물쓰레기 제로를 위한 열린 토론회
대학생정토회, 에코캠퍼스 심포지엄 개최
에코붓다-양천구청 빈그릇운동 협약
2005. 12
2005.
2005. 4
2005.
2005. 4
빈그릇운동 100만인 돌파
학교 및 지역정토회, 대학생, 단체에 지렁이 분양
사단법인 에코붓다로 단체명 변경
학교 및 지역정토회, 대학생, 단체에 지렁이 분양
사단법인 에코붓다로 단체명 변경
2004.
2004. 4
2004. 4
‘음식남기지 않기’ 10만인 서약캠페인 시작
정토회 쓰레기제로운동의 결과를 담은 토론회_프레스센터
정토회 쓰레기제로운동의 결과를 담은 토론회_프레스센터
2003.
2002.
2003. ~ 2001.
2002.
2003. ~ 2001.
타 단체와 연대하여 가정내 지렁이 분양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실험(정토회관내)
‘뒷골목선지식을 찾아서’진행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실험(정토회관내)
‘뒷골목선지식을 찾아서’진행
2001. 6.
제6차 전국환경활동가워크샵(주제 :생명운동의 미래와 환경운동가의 미래를 생각한다.) 약 300여명
2000. 6. 22
제5차 전국환경활동가워크샵 (주제 : 카오스모스시대의 생태적 미래사회구상) 100여개 단체 약200여명참가
생태선재기행1-14차 진행 (흙집기행, 생태뒷간기행, 생태마을기행, 공동체를 찾아서, 살림기행)
생태선재기행1-14차 진행 (흙집기행, 생태뒷간기행, 생태마을기행, 공동체를 찾아서, 살림기행)
2000.
한국환경사회단체회의 간사단체 및 상임공동대표 역임

1999. 5.
1994. 6.
1990.
1994. 6.
1990.
정토회관 쓰레기제로운동 시작
환경부로부터 ‘한국불교환경교육원’으로 사단법인 인가
일반인과 환경전문가를 위한 강좌 및 세미나, 교육진행 (생태학교, 불교환경강좌, 생명운동아카데미, 주부환경교실)
환경부로부터 ‘한국불교환경교육원’으로 사단법인 인가
일반인과 환경전문가를 위한 강좌 및 세미나, 교육진행 (생태학교, 불교환경강좌, 생명운동아카데미, 주부환경교실)
1990. 6 ~
환경 문제로 활동을 전환
1994. ~ 1988.
수련 및 사상 교육으로 사업진행 (민족불교학당, 두레문화교실, 통일학교, 민족여성학교)
1988.
3월5일 ‘한국불교사회교육원’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