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터
[현장중계]내마음의푸른마당
2007.05.30 17:38:04 정토회 공동체의 환경공청회 5월 내마음의 푸른마당을 생중계합니다. 2007년 5월 26일(토) 오전 8시30분-10시까지 진행되었고, 총 36명이 참석하였습니다. 이번달 주제는 “에너지”입니다. 에너지를 주제로 OX퀴즈, 개인컵 확산을 위한 딸기요거트 제공, 토론등이 있었습니다. ox 퀴즈! 원자력발전의 원료는 티타늄이다!! 맞으면 동그라미, 틀리면 가위표로 가주세요~ 이 금을 넘지 마세요.~ 한 번 동그라미는 영원한 동그라미?? 에이 당연히 아니지~~ 그쵸?
‘최광수’정책위원 환경부장관 표창
2007.01.02 14:57:10 에코붓다 정책위원 최광수님(경상대학교 교수) 환경부 환경유공 상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표창장 (사) 에코붓다 정책위원 최광수 귀하는 평소 남다른 관심과 헌신적인 노력으로 환경보전에 이바지한 공이 크므로 이에 표창함. 2006년 12월29일 환경부장관 이치범
이사준비
2006.04.07 16:09:26 어디로 이사가세요?라고 제목만 보고도 여기저기서 물어볼것 같아요. 정토회 별관 2층에서 4층으로 이사갑니다. 계단만 오르락 내리막하면서 옮기면 되는데도 일이 굉장히 많아요. 짐싸는것 시작도 안했는데 머리는 벌집 쑤셔놓은 것처럼 복잡합니다. 해넘어가기 전에 보자기, 노끈, 박스를 모아서 하나씩 차곡차곡 짐 쌀 준비를 해야겠어요
군대 빈그릇운동-돌격부대의 비움과 나눔의 실천
2005.11.28 00:44:53 11월 22일 오후 2시 육군 제20기계화보병사단 돌격부대에서(부대장 김지환대령) 10월 1일부터 시작된 빈그릇운동의 성과를 나누는 돌격부대 빈그릇운동 보고회가 있었습니다. 이날 행사에선 돌격부대의 급양관리관인 김상호중사님이 빈그릇운동 이후 잔반량의 변화를 발표하였습니다. 빈그릇운동 전 1인당 하루동안 0.58kg발생하던 음식물쓰레기가 빈그릇운동 이후 0.2kg로 감량되어, 65.6%로 감소되는 성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당일 보고회에서 빈그릇운동의 국가경제적 의미를 밝혀준 최광수(해양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에 따르면, 대한민국 전군대가
600명시민빈그릇운동함께하다
2007.04.24 17:05:56 지구의 날 행사 시민 600명 비빔밥으로 빈그릇운동 체험하다 올해로 37번째를 맞은 지구의 날을 기념해 서울 대학로에서 환경단체들이 모여 다채로운 행사를 했습니다.이번 행사는 ‘스톱(Stop) 온난화, 무브(Move) 자전거, 어게인(Again) 재활용‘을 주제로 펼쳐졌습니다. 에코붓다와는 비빔밥 600인분을 준비하고 시민들에게 빈그릇 운동 체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날 비빔밥은 고궁(주)에서 전주비빔밥 협찬으로 이루어졌으며 시민들은 전주비빔밥을 2천원에 사고 음식을 남김없이 먹고
10월 내마음의 푸른마당 결과 보고
2006.10.31 13:24:30 1. 일시 및 장소 일시 : 2006년 10월 24일(화) 오전 9:00∼ 10:00 장소 : 정토회관 3층 강당 2. 조별모임 조배치 토론 내용 1조 기획홍보실 출판국 ○ 실천과제 – 밥그릇까지는 닦아먹자. – 양념이나 간장은 병아리 눈물만큼만 떠서 먹고, 또 떠서 먹는다. 2조 좋은벗들 대학생정토회 ○ 실천과제 – 장류(된장, 간장)의 경우는 덜어먹는 숟가락을 이용한다. ○
새싹
2006.02.27 10:30:25 지난 겨울 화분에서 작은 새잎이 났습니다. 같이 자라던 큰 화초에 가려져서 뿌리가 내리기 전에 뽑혔네요. 흙에서 뿌리내리기가 어려울것 같아서 작은병(손가락 두마디 만한 깊이)에 물을 담아서 화초가 잠기지 않도록 걸쳐놓았습니다. 분무기로 물을 뿌려주다가 물살이 너무 세어서 한잎 떨어지고, 그 뒷에 한잎이 새로났습니다. 오른쪽에 자세히 보면 한 잎이 새로 나려고 삐쭉 올라오고 있습니다. 눈 맑은
정책위월례세미나-김종덕교수님과함께(로컬푸드운둥)
2007.02.27 10:00:40 2007년 2월 26일 늦은 7시 에코붓다 정책위원회에서는 빈그릇운동의 비젼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2007년 첫 월례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김종덕 교수님을 모시고 <로컬푸드 운동(지역먹거리 운동)>에 대해서 강의를 듣고 토론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서로 배우는 유익하고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사진설명]세미나를 마치고 다함께 사진을 찍었습니다. 첫번째 줄 오른쪽부터 에코붓다 김윤희님, 정토회 장도연님, 정규호 정책위원, 김종덕교수님, 이해일정책위원, 이현주정책위원, 오용선정책위원, 뒷줄 오른쪽부터 백혜은사무국장,
[음식의재활용]수박껍질의 대변신, 이런 음식도 있습니다
2006.06.29 09:44:43 요리 : 길주옥 (에코붓다주부자원활동가) 수박껍질 나물 재료: 수박껍질, 굵은 소금, 들기름, 팽이버섯, 참깨소금 수박 살을 먹고 난뒤,껍질을 손질해야 한다. 빨간 살이 많이 붙어 있으면 빨간 부분만 잘라서 수박쥬스를 해서 먹고,초록색 나는 딱딱한 껍질부분은 깎아내고 흰살부분은 결을 절단하는 방향으로 채 썰어야 한다.채썬 수박은 껍질을 소금에 10분 정도 절인다.너무 짜다 싶으면 물에 한번 헹군다.절인 수박을 적당히 짜서 팬에 들기름을 두르고 찧은 마늘을 넣어볶다가,팽이버섯을 넣어 살짝 볶는다.낼때 깨소금으로 맛을 내면 아삭아삭하고 고소한 맛이 담백하다. 수박장아찌 재료 : 수박껍질, 식초, 진강장, 설탕 수박을 자르기 전에 껍질을 깨끗이 닦아주어야 한다.수박껍질을 채썰기를 할 때, 껍질무늬를 절단하는 방향으로 잘라주어야 덜 딱딱하다.진간장,설탕,식초를 같은 비율로 섞어서 한쪽 방향으로잘 저어서 채썰어 놓은 재료에다 잘박잘박하게 담기도록 부어놓는다.3,4일 이후부터 먹으면 된다.냉장고에 두고 관리한다.새콤달콤한 맛을 자기 입맛에 맞추는 것이 가장 좋다.
함박눈 내렸던 인사동/명동 캠페인
2005.12.06 14:15:41 [img:2365.jpg,align=,width=700,height=274,vspace=0,hspace=0,border=1] 서울에 첫 눈이라 할 수 있는 함박눈이 내렸습니다. 뒤이어 온 매서운 추위에도, 모두 너무나 당연히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사진에서 그 날씨가 느껴지네요…하지만 모두 밝은 얼굴… 모두모두 감사합니다. 그 노력만큼, 많은 이들이 빈그릇운동 함께했으면 좋겠습니다. 명동에서…. 권영미, 김태권, 양윤순, 김애자, 설갑문, 하경혜, 정인숙, 한혜자, 배인자, 류현복, 최미영, 유미경, 이영욱, 윤옥순, 마경숙-15명 인사동에서… – 동참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