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적 생활양식과 쓰레기제로운동 (2)

대안적 생활양식과 쓰레기제로운동(2)

환경문제를 두고 ‘위기’의식이 증폭되는데 는 다음과 같은 환경문제의 특징들이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시간적 측면’에서 지금 진행되고 있는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자원고갈의 속도가 가속되어 여유를 가지고 대응하기에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무한경쟁 체제 속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생산력 증대를 위한 개발의 속도를 높이면 높일수록 환경파괴 속도 또한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처방이 요구된다.

둘째, ‘공간적 측면’에서 현대 환경문제는 기존의 국지적 범역을 넘어 전 지구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구 차원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지금과 같은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국민 국가 체제로는 많은 한계가 있다. 이런 현상은 지구 온난화를 둘러싼 국제 협상과정에서 자국 이익을 중심으로 한 갈등이 표출되는 데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환경오염 자체의 ‘시간적 지연성’과 ‘복합적 특성’이 우리의 인식능력과 통제능력을 벗어나고 있다. 즉 환경오염 현상 자체가 오염 물질 사이의 복합 상승효과와 순환성으로 인해 현재의 과학기술 수준으로는 그 인과관계를 정확히 밝혀내기가 어렵고,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피해와 영향이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넷째, 환경문제가 인류의 생존과 미래를 더욱 어둡게 하는 것은 문제해결을 위한 생태학적 조건에 한계가 있다. 각종 광물자원과 화석연료 등 현대산업사회를 지탱하는 자연자원의 매장량에 한계가 있으며, 오염물질을 자연과정에서 처리할 수 있는 생태학적 수용능력 또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초과한 생태학적 파괴는 비가역적이어서 엄청난 비용을 대가로 지불하더라도 본래의 생태적 기능을 회복하기에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로서 이러한 환경문제의 발생 원인이 인류 대다수가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는 ‘가치체계’와 ‘삶의 동기’ 이다. 현대사회의 보편적인 가치체계로 자리 잡은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사회가 인간의 행복을 보장하며, 이러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생산력의 증대가 필수이고, 이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개입을 증대시킬 수밖에 없는데 이것이 바로 진보이자 발전이다’라는 사고가 환경문제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지금의 환경문제를 소수의 뛰어난 선각자나 지도자, 전문가들만이 나서서 해결할 수 없으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자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현대산업사회가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높은 영향력은 오늘날 환경 생태 문제의 위기를 만들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인류의 문명과 인류 생존의 ‘지속가능성(sustantiality)’ 자체를 우려하고 있다. 이미 우리에게도 익숙한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논의도 현대 환경문제에 내재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문제의식 속에서 나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오늘날 환경문제의 위기적 특성을 강조하는 것이 종말론적 공포감이나 체념적인 태도를 조성하는데 악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보다 잘 살아보겠다’고 모두 노력한 결과가 인류의 삶의 질은 물론 생존을 위협하는 현실을 환경문제를 통해 직시하고 보다 근본적인 관점에서 문제해결 방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본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경문제의 발생 원인이 현재 인류가 당연시 여기고 있는 가치체계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가치체계와 사회구조의 작동 논리를 토대로 한 문제해결을 위한 시도는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의 시기를 놓쳐 버리는 등 또 다른 부작용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 오늘날 환경문제를 고민하는 전문가와 실천가들이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강조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환경문제를 통해 우리는 인류의 생존과 행복을 온전하게 보장해 줄 수 있는 ‘진실한 삶’이 무엇인지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3-4월 호에 실린 글 입니다
14-03-cover-landscape

bottom_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