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소비체제, 해결책은 소비를 줄이고 재활용 하는 것

우리가 먹고 사는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요즘 고기 위주로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육식이라는 것이 자연 상태의 짐승을 잡아서 먹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물건 생산하듯이 대량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좁은 공간에 많은 수의 닭들을 움직이지도 못하게 가둬두니 생명이 스트레스를 받고 항생제를 투여하고, 속성 재배하려고 호르몬을 투여하고, 돌연변이가 생겨나고, 그러니까 조류독감, 광우병, 돼지 인플루엔자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한쪽으로는 자연이 여기에 적응하기 위해서 돌연변이가 나타나니까 우리에게 예상하지 못하는 위험이 닥치는 겁니다.

그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에 따른 자원의 고갈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자원을 차지하기 위한 다툼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세계 자원을 놓고 쟁패를 하니까 원자재 값이 올라갑니다. 옛날에는 원자재 고갈만 걱정했는데 현재의 대량소비체제는 대량폐기물을 만들어내고 있고 이로 인한 부작용은 해결책이 별로 없습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소비를 줄이는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소비 중독에 걸려 있습니다. 어떤 여성들은 쇼핑 중독에 걸려있습니다. 사다 놓고 집에서 안 쓰고 버리게 됩니다. 우리 모두가 소비 중독입니다. 양적인 중독도 있지만 질적인 중독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다 10만원짜리 신발을 신으면 처음에는 한 두 명이 신다가 나중에는 전부 다 따라가게 됩니다. 그래서 가난한 아이들도 부모들이 다 사줘야 됩니다. 이 고급화가 굉장히 빠른 속도로 쏠림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잘사는 기준이 흰 쌀밥에 소고기 국밥이었어요. 그 다음에 나온 게 마카오 신사, 옷 잘 입는 것이었습니다. 그 다음에 나온 것이 내 집 마련, 쌀통 집에 놓는 거였습니다.

시집갈 때 필수품이 쌀통이었어요. 그러다가 짤순이로, 냉장고로 오게 됩니다. 핸드백도 명품, 가짜라도 손에 들어야 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신발장에 안 신는 신발, 옷장 속에 안 입는 옷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들이 지금 쓰레기통 속에 살고 있는 겁니다. 자원낭비 그 부작용이 어마어마하게 도래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지구 환경의 20%인 선진국의 나라들만 그랬는데, 지금은 인구 대국인 중국도 따라가고 인도도 따라가고 멕시코 브라질도 따라오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은 자기 생전에 지구 종말을 보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지 않으려면 소비를 줄이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입니다. 그런데도 아직 전 세계가 성장에 혈안이 되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소비를 줄이는 해결책 말고 다른 하나는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겁니다. 재생, 재활용. 이게 원활하게 잘 되지 않습니다. 페트병을 재생해서 만드는 것 하고 원자재를 사용해서 만드는 것 하고 생산가격이 원자재에서 만들면 1000원, 재생해서 만들면 1800원 합니다. 기름값 때문에 그렇습니다. 대만에는 자원봉사 조직이 400만이 조직되어 있습니다. 이 사람들이 전국적으로 쓰레기장을 5천개를 운영합니다. 똑같은 노동력을 똑같이 놀아도 골프 치고 놀지 않고 분리수거하면서 놉니다. 분리수거해서 판매해서 생산된 금액이 연간 430억입니다. 이 금액을 구호활동에 쓰고 있습니다. 페트병을 분리수거해서 실을 뽑아 담요를 만들고 이렇게 만든 담요는 전 세계 긴급구호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활동은 생산성이 없으니까 월급을 주고는 못하고, 자원봉사자들이 다 하고 있습니다. 이런 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수행을 기초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다음호에 계속]

# 에코붓다 소식지 2013년 9-10월 호에 실린 글 입니다

bottom_banner